비슷한 단어들 동의어 반대말 訓民正音

訓民正音韻解    0.697821

훈민정음    0.690766

해례    0.687116

제자해    0.669263

창제    0.651362

최세진    0.635865

圓覺經    0.628770

內訓    0.617854

倉第    0.616432

大明律    0.611561

비슷한 단어들 동의어 반대말 訓民正音

Article Example
정분 1446년 9월에 《훈민정음()》이 완성되어 반포하였다. 어제(御製)에,
한글 『훈민정음 해례본( 解例本)』을 바탕으로 한글과 음양오행의 관계를 기록하였다.
훈민정음 《훈민정음》(, )은 조선 초기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한다.
정인지 세종 때 집현전 대제학으로서 성삼문(成三問), 신숙주(申叔舟) 등과 훈민정음() 창제에 공이 컸고 훈민정음예제(解例) 끝에 서문을 썼으며, 안지(安止), 최항(崔恒) 등과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를 지음으로써 국어국문학사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집현전학사들 중 단종을 부탁한다는 세종의 유언을 저버리고 수양대군의 편에 가담한 일 때문에 세조 말년부터 정계에 진출한 사림파로부터 비판과 경멸의 대상이 되었다.
훈민정음 언해 훈민정음 언해(諺解)는 한문으로 된 《훈민정음》에서 어제 서문과 예의(例義) 부분만을 한글로 풀이하여 간행한 것이다. 이는 중세 한국어의 모습을 알 수 있는 중요한 문헌 자료이다.